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 체크

by 굼 2022. 11. 7.

타이어는 차량 소모품 중 가장 가격이 높습니다. 그만큼 연비, 주행성능, 제동거리 등 차량을 운행할 때 많은 부분을 좌우하는데요, 겨울철에는 외부 온도가 낮아지면서 타이어 공기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곤 합니다. 주행에 있어 중요한 만큼 미리 신경 써서 적정 공기압을 맞춰주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공기압의 영향

타이아 공기압이 너무 낮은 상태로 주행을 하게 되면 달릴 때 타이어가 변형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고속주행 중 타이어 변형에 의해 펑크가 나거나 터지게 되면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굉장히 높습니다. 또한 타이어 바깥 부분이 빠르게 마모되어 수명이 줄어드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타이어 공기압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접지력이 떨어져 빗길이나 눈길에서 미끄러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울퉁불퉁한 바닥을 지날 때나 방지턱을 넘을 때 타이어가 받게 되는 충격이 커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수명 역시 줄어들게 됩니다.

겨울철 적정 공기압

온도가 높을수록 기압은 떨어지고 온도가 낮을수록 기압은 높아지게 되는데요, 외부 온도가 10도 정도 낮아졌다고 가정했을 때 대기의 공기압이 높아짐에 따라 타이어 공기압은 약 8% 정도 낮아지게 됩니다. 여름철과의 온도가 30도 이상 차이나는 한국의 겨울에는 여름철과 비교했을 때 타이어 공기압이 약 30% 정도 낮아지게 되는데요, 사고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날씨가 추워짐에 따라 공기압을 미리 채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 승용차는 적정 기압보다 1~2 psi 정도 더 채워주는 것이 좋으며, 화물차의 경우는 3~8 psi 정도를 더 채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인 차량 적정 공기압

  • 일반 승용차: 34~35 psi
  • 화물 차량(포터 기준): 앞바퀴 55~65 psi, 뒷바퀴 75~80 psi
  • SUV: 34~36 psi

공기압만 잘 관리해줘도 타이어의 수명이 늘어나고 더욱 안전한 주행이 가능해집니다. 겨울철 적정 공기압 참고하셔서 사고 없는 안전한 주행 이어가실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2022.11.07 - [분류 전체보기] - 겨울철 동파방지 방법 미리 체크합시다.

 

겨울철 동파방지 방법 미리 체크합시다.

추운 겨울 수도가 동파되면 수리비용이 들어가고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물을 사용하지 못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생깁니다. 때문에 기온이 낮아지기 전에 사전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도

me4u.tistory.com

2022.11.07 - [분류 전체보기] - 자동차 시동 안 걸리는 이유 및 해결법

 

자동차 시동 안 걸리는 이유 및 해결법

멀쩡하던 자동차가 갑자기 시동이 안 걸릴 때가 있는데요, 운행을 해야 하는 상황에 이런 일이 발생하면 당황스럽고 짜증도 납니다. 시동 안 걸림 현상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me4u.tistory.com

 

댓글